섹슈얼리티 사회학

사회적 질병으로서 HIV/AIDS와 동성애혐오 본문

섹슈얼리티 사회학

사회적 질병으로서 HIV/AIDS와 동성애혐오

플루키 2019. 3. 28. 00:13

“<인생은 아름다워> 보고 ‘게이’ 된 내 아들, AIDS로 죽으면 SBS 책임져라!” 2010년 9월 28일, 조선일보 A35면에 위와 같은 문구의 광고가 실렸다. ‘참교육어머니전국모임’과 ‘바른성문화를위한전국연합’에서 게재한 해당 광고에는 동성애자의 AIDS 감염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730배나 높다는 내용도 포함되었다. 매년 개최되는 퀴어문화축제에서도 동성애는 죄악이며, 동성애자는 모두 에이즈로 죽게 될 것이라는 혐오선동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국 질병관리본부(2017)의 통계에 따르면 HIV에 감염된 내국인의 수는 11,439명으로, 이 가운데 남성은 92.8%(10,618명)를 차지한다. 또, 2016년 한 해 동안 접수된 신규 신고자 중 남성은 1,062명으로 그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 중 동성 간 성 접촉을 했다고 자가 응답한 자의 수는 325명이었다. 동성애를 향한 사회적 편견을 의식한 거짓 응답의 가능성을 고려하면, 실제로 한국인 HIV 감염인의 상당수가 성소수자 남성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전 세계 HIV 감염인 약 3,670만 명 가운데 47.4%가 여성이라는 통계와 비교하면 유독 한국에서 HIV 감염인 중 남성의 비율이 높은 이유를 질문할 필요가 있다(UNAIDS, 2016: 8).

 

그러나 이러한 질문과 남성 동성애를 HIV/AIDS의 원인으로 지목하는 것은 전혀 다른 일이다. 앞선 광고에서 본 것처럼 일부 보수 개신교 세력은 동성애자를 성적 문란함과 연결시키며 “에이즈 치료비 보장은 세금 낭비”라는 혐오선동을 주도하고 있다(나영, 2018: 58). 특히 이러한 주장은 단지 기독교 교리나 신념으로만 뒷받침되지 않는다. ‘성과학연구협회’와 같이 ‘성과학’이라는 지식의 이름으로 무장한 보수 개신교 세력은 “죽음에 이르는 대단히 무서운 병, 에이즈”라는 선언을 통해 동성애자를 “막대한 국민 세금을 낭비하게 만드는 ‘무자격 국민’이자, ‘무분별’하고 ‘이기적’이며 ‘몰염치’하고 ‘비윤리적’인 ‘혐오스러운’ ‘환자’로 재탄생시킨다(이나영‧백조연, 2017: 98). 그렇다면 이들이 말하는 ‘국민’의 범주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어떻게 에이즈라는 하나의 질병이 동성애자 정체성을 대표하는 상징이 되었는지 질문하지 않을 수 없다. 김승섭(2016)은 이처럼 “동성애에 대한 낙인과 혐오에 기반하여 동성애와 HIV 감염을 연관 짓는 것이 HIV/AIDS의 예방과 치료에 큰 장벽”이라고 지적한다(40). 오히려 동성애자라는 성정체성을 문제 삼는 대신 이를 인구사회학적 인자로 이해하고, 성소수자 남성에 대한 예방책 마련과 동성애와 HIV/AIDS에 대한 편견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동성애의 의료화와 HIV/AIDS

 

서구 사회에서 사회적 범주로서 동성애 정체성은 중세적 종교의 의미에서 죄악(sin)에서 출발하여 사법적인 처벌의 대상인 범죄(crime), 그리고 그 이후에는 의학적인 치료의 대상으로서 질병(illness)이라는 과정을 거쳐 오늘날 성적 지향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Conrad and Angel, 2004; Marinucci, 2010; Sullivan, 2003). 특히 콘라드와 엔젤(Conrad and Angell, 2004)은 의학적 측면에 주목하면서 동성애 정체성의 의료화와 탈의료화(demedicalization) 과정을 서술한다. 기독교 전통에서 소도미(sodomy) 등으로 불렸던 것이 동성애(homosexuality)라는 의학적 용어로 자리 잡게 된 것도 바로 의료화 과정을 통해서이다(Conrad and Angell, 2004: 32). 콘라드와 엔젤(Conrad and Angell, 2004)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성과학의 역사를 검토하면서, 동성애를 법적 처벌의 대상에서 구출하고자 했던 성과학자들이 동성애가 타고난 것이며 치료할 수 있으므로 처벌보다는 치료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음을 보여준다(32-33).

 

그러나 1960년대 이후 급진적인 성 해방 운동과 페미니즘 운동, LGBT 사회운동 등의 영향 하에서 이러한 기조에 커다란 변화가 시작되었다. 성소수자들은 커밍아웃의 정치학을 통해 사회적 낙인에 저항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영향 하에서 동성애를 비정상적인 정신 질환으로 보는 관점은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다. 특히 사회학은 이러한 변화에 있어서 큰 역할을 담당했다. 예컨대 페미니스트 사회학자 매리 맥킨토시(McIntosh, 1968)는 일탈과 낙인 이론에 관한 사회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동성애를 종전과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그는 동성애를 조건(condition)으로 접근할 때 ‘동성애자 고유의 독특한 속성은 무엇이며, 동성애의 원인은 무엇인가’하는 해결되지 않는 질문을 맴돌 수밖에 없다고 비판한다(34).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해온 섹슈얼리티의 역사를 비교하면서 그는 사회통제 방식으로서 동성애 역할(role)에 주목한다. 이성애중심적인 사회에서 동성애자라는 낙인은 사회적으로 허용 가능한 성적 행위를 결정함으로써 동성애를 비정상으로 분류해낸다. 이러한 범주화는 다시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에 반영되면서 결국 동성애혐오는 자기충족적 예언을 실현하고야 만다(35). 결론적으로 그는 동성애를 조건이 아니라 ‘사회적 역할’로 이론화한다. 동성애를 단지 특정한 성적 행동의 유형이 아닌 사회적 기대와 행위의 상호작용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36).

 

이러한 관점 하에서 더 이상 동성애를 유발하는 유전자가 무엇인지, 혹은 그 외에 동성애의 원인은 무엇인지 하는 질문은 의미가 없게 되었다. 점차로 동성애는 의료적 조치의 대상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인정받아야 할 존재로 자리매김해갔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 중대한 변화가 도래하였으니 그것이 바로 1980년대의 에이즈 패닉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HIV 최초 감염은 1981년 5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 의해 보고되었으며, 최초 감염인이 남성 동성애자였기 때문에 초기에는 ‘게이 암(Gay Cancer)’이나 ‘게이면역결핍증(Gay-Related Immune Deficiency, GRID)’이라고 불리기도 했다(Conrad and Angell, 2004: 36). HIV/AIDS가 그저 성 관계를 통해 누구라도 감염될 수 있으며, 미국에서 AIDS라는 진단명으로 확정되기 이전부터 이미 아프리카 등지에서 수많은 이성애자 남녀에게 비슷한 증상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거의 무시되었다(김승섭, 2016: 36). 성소수자 커뮤니티는 급격하게 파괴되기 시작했고, 성 해방을 기치로 내걸었던 성소수자 커뮤니티와 LGBT 운동은 위기를 맞이한 것처럼 보였다. 특히 당시 보수적인 이데올로기로 무장한 레이건과 대처의 시대였고, 동성애는 국가와 가족을 위협하는 에이즈의 담지자로 여겨지기 시작했다(루빈, 2015). 미국정신의학회가 1973년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S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에서 동성애를 삭제한 지 채 십 년도 지나지 않아 발견된 HIV는 다시금 동성애를 질병으로 후퇴시키는 듯했다. 정부 당국과 학계의 무관심 속에 많은 HIV 감염인이 죽어갔고, 다른 한편으로는 성소수자 남성에 대한 의료적 통제가 강화되었다(Conrad and Angell, 2004: 35-6).

 

그러나 동성애는 질병이라는 과거로 완전히 퇴행하지는 않았는데, 거기에는 감염인과 성소수자 당사자들의 사회운동이 큰 역할을 했다. 엡스테인(Epstein, 2003)은 이들이 ACT UP(AIDS Coalition to unleash Power)와 같은 단체를 조직하여 에이즈에 대한 정부의 처절한 무관심과 징벌적인 정책에 저항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전문화(expertification)”되어 과학적 방법과 언어로 의료 권력과 투쟁하였다고 설명한다(Conrad and Angell, 2004: 36에서 재인용; 비슷하게 Watkins-Hayes, C., 2014: 445을 참고). 이러한 역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동성애라는 ‘비규범적인’ 섹슈얼리티에 관한 의학적 지식은 그 자체로 객관적인 지식이라기보다 사회적 맥락에 좌우되어 왔다. 다시 말해 동성애가 질병인지 아닌지를 결정한 것은 과학적 지식 자체보다는 이를 바라보는 패러다임에 있었던 셈이다. 사실상 동성애 자체와는 관련이 없을뿐더러 치료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HIV/AIDS를 동성애의 질병이라며 낙인화 하는 것 또한 마찬가지이다. 마사 누스바움(2016)은 “진짜 위험과 신뢰할 만한 연관관계가 거의 없는 이 투사적 혐오는 망상을 먹고 자라며 예속을 만들어낸다.”며 타자에 대한 무지가 오히려 강력한 혐오의 바탕이 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55). 

 

사회적 질병과 건강 불평등

 

1985년에 첫 한국인 HIV 감염인이 발생하고 난 2년 뒤인 1987년에 한국에서도 국립보건원(현 질병관리본부)에 에이즈센터가 건립되었으며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이하 에이즈예방법)이 제정되었다. 당시 정부의 대처는 주로 격리와 검역에 중점을 두고 혈액감염관리를 빠르게 시작했는데, 그 결과 한국에서는 혈액제제 등에 의한 전염 사례를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나 격리와 검역에 중점을 둔 나머지 감염인의 인권에 대한 고려는 전무했고, HIV/AIDS를 향한 사회적 낙인과 편견을 국가적으로 양산하는 결과를 낳았다(나영정 외, 2016: 10). 롬바디와 베처(Lombardi and Bettcher, 2013)는 성소수자를 향한 제도적‧문화적 낙인과 배제가 다양한 방식의 건강 불평등을 발생시킨다고 지적한다. 가령 HIV/AIDS는 단지 신체적 질병이 아니라 사회적 낙인과 함께 노동권, 의료접근권, 사회적 관계의 단절 등 감염인의 삶 전반에 걸친 불평등으로 확장된다. 에이즈는 이미 치료제가 개발되어 관리 가능한 만성질환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차별기제가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사회적 질병인 셈이다. 특히 미지의 전염병으로서 HIV/AIDS가 초기 한국 사회에서 이해되는 과정에서 정부 보건당국의 역할은 매우 치명적이었는데, 이후 이러한 사회적 낙인이 보수 개신교 세력 등 동성애혐오적인 담론 지형 속에서 재생산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87년 제정된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은 에이즈 관리의 법적 근거를 초기에 확립하면서 HIV 감염인에 대한 보호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HIV 감염자에 대한 신고(제5조)나 감염인 명부 작성(제6조), 감염위험이 높은 직업군에 대한 강제검사(제8조), HIV 감염인 격리치료(제14조), 전파매개 행위의 금지(제19조) 등을 주요 내용으로 규정하고 있는 바 입법취지라고 할 수 있는 ‘후천성면역결핍증의 예방’과 ‘감염인의 보호’라는 양자 간의 균형을 맞추기보다는 전자에 치중하여 감염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효과를 낳았다. 이러한 문제적인 조항은 실제로 초기에 AIDS를 “외국인의 병”이자 남성 동성애자의 병으로 인식했던 보건당국이 남성 동성애자 집단을 표적으로 한 방역대책을 실시하는 데에 활용되었다(박차민정, 2016: 37). 박차민정(2016)에 따르면 당시 보건당국은 이태원 일대에서 미군을 상대하는 “한국인 동성연애자 여장 남자 종업원” 54명에 대해 강제 혈액검사를 실시하는 등 당시 AIDS에 대한 강제검진 규정이 전통적인 성병 강제검진 대상 위험집단에 동성애자를 표적화하는 방식으로 추가되었음을 잘 보여준다(37). 당시 언론의 보도를 보면 미국과 달리 한국에서 “동성애자 집단은 여전히 낯선” 존재였고, 추정과 의혹으로 가득한 “도시괴담식 공포의 주인공에 지나지 않았다.”(박차민정, 2016: 38). 이와 달리 에이즈에 대한 공포는 훨씬 구체적이고 실제적이었는데, 서구 사회와 다른 시간대 하에서 사회적 정체성으로 동성애자보다 에이즈에 대한 공포가 앞선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1988년 올림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동성연애자, 외국인대상접대부, 외국인”에 대한 직접적인 에이즈 통제는 더욱 강화되었다(동인련, 2012: 42-43; 전원근, 2015: 151에서 재인용). 당시 에이즈에 대한 통제는 한편으로 ‘향락문화 추방’ 캠페인의 일환이기도 하였으나(박차민정, 2016: 43), 더욱 주요하게는 동성애 자체를 외부에서 외래한 것으로서 “민족문화를 ‘오염’시키는 타자이자, 동시에 물리적으로 성병, 특히 HIV 바이러스를 통해 신체를 ‘위협’하는 타자로 상상하는 동성애에 대한 현대적 이해 방식의 한 흐름”을 형성하였다(전원근, 2015: 152). 앞서 살펴본 것처럼 에이즈에 대한 당시 인식은 보건당국의 정책에 힘입은 측면이 크다. 보건당국은 HIV 감염인에 대한 격리, 외국으로부터 국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혈액제제 및 외국인에 대한 HIV 검사 강화 등을 주된 정책수단으로 채택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훈재(2010)는 당시 후천선면역결핍증 예방법의 실질적인 취지가 사실상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 목적의 방역활동에 대한 정책수단의 법률적 정당화”에 다름 아니었다고 지적하면서, 에이즈 환자 및 고위험군 집단을 낙인화하면서 인권침해를 자행하고, 더욱 주요하게는 에이즈에 관련된 사회의 인식을 (특히 동성애 정체성과 결부된 방식으로) 고착화시켰다고 주장한다(35-36).

 

사회적 낙인이 건강에 미치는 다양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고려하면 동성애와 HIV/AIDS에 대한 당시 사회적 인식은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나,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Lombardi and Bettcher, 2013; Watkins-Hayes, C., 2014). 한국 사회에서 HIV/AIDS와 동성애를 연관시키는 사회적 낙인은 오늘날까지도 심각한 수준으로 이어져오고 있는데(서보경 외, 2017), 이러한 낙인이 잘못된 의학적 지식에 기반하고 있는 것임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대단히 문제적이다. 특히 HIV/AIDS 감염인에 대한 의료차별과 진료거부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에서 HIV/AIDS에 관한 의료적 조치를 실시하고 지식을 생산하는 의학계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할 수 밖에 없다(한국HIV/AIDS감염인연합회 KNP+, 2016).

 

HIV/AIDS에 대한 학계의 인식과 동성애혐오

 

1985년 첫 HIV 감염인 사례가 나온 이래로 학계에서도 HIV/AIDS에 관한 많은 연구가 축적되어 왔다. HIV/AIDS 연구는 크게 치료와 예방에 관한 임상적 연구와 사회적 건강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주로 의학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후자는 예방의학, 사회복지학, 의료사회학 등의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더불어 질병관리본부와 국가인권위원회 등 국가기관 또한 HIV/AIDS와 관련된 임상적‧사회적 건강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 가운데 동성애(Homosexual), 성소수자, MSM 등의 키워드가 포함된 연구만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또, HIV/AIDS가 의학적으로 어떠한 질병이고, 치료를 위해 어떠한 약물과 처치가 필요한지 살펴보는 것은 본 연구의 목적을 벗어나므로 여기에서 임상적 연구에 관한 검토는 이혜민 외(2014)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이혜민 외(2014)에 따르면, 한국 성소수자 건강에 대한 임상적 연구는 총 128편으로, 그 숫자가 매우 적을뿐더러 대부분 인터섹스(Intersex)에 관한 사례보고가 주를 이루고 있다(51-2). 또한 질병관리본부가 주관하는 ‘한국 HIV/AIDS 코호트(2006년도 구축)’에 성소수자가 일부 포함되었으나, 성소수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코호트 조사는 없다(59). 국외에서는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임상 연구가 진행되는 것과 크게 다른 점이다. 특히 HIV/AIDS의 고위험군이라고 할 수 있는 성소수자 남성을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가 없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한편 예방의학, 사회복지학, 의료사회학 등의 분야에서 성소수자와 HIV/AIDS에 관한 사회적 건강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유일하게 1990년대에 실시된 Cho et al.(1993)의 연구는 HIV 감염인 동성애자의 역학적 특성을 추적한다. 그러나 응답자의 65%는 동성애 행위에 죄책감을 느낀다고 응답하였고, 동성애 활동에 대한 동기 또한 호기심(36%), 유혹이나 추천(14%), 강제(11%) 등으로 나타나는 등 해당 연구는 동성애를 향한 사회적 편견과 무지 등 시대적 한계가 일정 부분 반영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전반적인 연구 부족과 분석 상의 문제점 등을 고려하면 당시 이미 칵테일 요법 등 에이즈가 의학적으로 치료 가능한 대상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여전히 잘못된 편견에 기반한 동성애에 대한 이해가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학계 전반적으로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에 만연한 왜곡된 지식을 바로잡고 동성애와 HIV/AIDS에 대한 낙인을 제거하는 데에 힘쓴 흔적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이후 연구들을 살펴보면 오히려 기존의 통념을 승인하고나 심지어는 강화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기미경 외(2004)의 연구는 동성애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에이즈에 관한 인식 정도를 수집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나, 이와 같은 연구를 본격적으로 HIV/AIDS와 성소수자 남성 간의 관계를 사회적 건강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로 보기는 어렵다. 해당 분야에서 2010년대 이전에 실시된 연구는 위의 두 편으로, 전반적으로 HIV/AIDS와 성소수자 남성에 관한 사회적 건강 연구에 관심 자체가 매우 부족했음을 알 수 있다. 2010년대에 이르러 HIV/AIDS에 취약한 성소수자 남성 집단에 대한 예방의학적 연구가 증가했다. 특히 남성 간의 성관계(MSM)에 있어서 콘돔 사용이 어떤 요인에 의해 좌우되는지 살피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Jung, M. et al., 2012; Jung, M., 2013, 2016; Sohn, A., & Cho, B., 2012). 예컨대 여러 섹스 파트너와의 접촉(Jung, M. et al., 2012; Jung, M., 2013), 파트너와 관계 맺는 유형(Jung, M., 2016), 성적 지식과 자기 효능감(Sohn, A., & Cho, B., 2012) 등이 콘돔 사용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특히 Sohn, A., & Cho, B(2012)의 연구는 성소수자 남성이라 하더라도 HIV/AIDS에 관한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거나, 지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효과적인 예방 캠페인이 필요함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MSM의 성 행태와 HIV/AIDS 감염 간의 상관관계를 단순하게 연결시키면서 성소수자 남성이 왜 여러 파트너와 성 관계를 가지는지, 다양한 관계의 유형은 왜 나타나는지 등을 질문하지 않은 채 ‘문란한’ 성적 행위가 결국 HIV/AIDS 감염으로 이어진다는 기존의 관념을 승인하는 효과를 낳는다.

 

위와 같은 한계는 성소수자 남성을 게이, 동성애자 등의 사회적 정체성 혹은 집단으로 보는 대신 ‘행위’에만 초점을 맞추어 이들을 MSM이라고 칭하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을 텐다. HIV/AIDS가 전파되는 ‘행위’ 자체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그러한 행위를 수행하는 행위자의 특성과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결여된 것이다. 이를 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배종면(2016)의 연구이다. 해당 연구는 동성애를 향한 사회적 편견과 시대적 한계가 반영된 Cho et al.(1993)의 연구를 인용하며, HIV 감염인이 동성애를 시작한 주된 동기가 호기심이기 때문에 동성애는 “개인의 자유의사와는 무관하게 갖게 된 차이”가 아니며, 따라서 MSM을 HIV/AIDS의 주 감염원으로 지목하는 것이 차별행위가 아니라고 주장한다(70). 나아가 “강압적인 환경에서 본인의사와 무관하게 MSM 경험을 하지 않도록 사전예방 조치가 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해당 연구는 성소수자 남성을 성적으로 문란하고 성 범죄를 저지르는 위험한 존재로 그려낸다(72). (다른 한편에서 정체성이 아니라 행위만을 가리키는  MSM 혹은 WSW라는 명칭이 공중보건 담론 내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낙인을 고려하지 않으면서 이들의 사회적 조건을 은폐한다는 비판 또한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Young et al., 2005를 참고)

 

이처럼 최근까지도 성소수자 남성과 HIV/AIDS에 관한 예방의학 연구에서는 여전히 성소수자 남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남아있다. 해당 연구들에서 고위험군으로 지목되고 있는 성소수자 남성의 목소리가 어디에서도 들리지 않는 것은 더욱 큰 문제이다. 성소수자 남성의 다양한 사회적‧성적 행위는 그저 변수로 취급되고, HIV/AIDS에 감염되기 쉬운 요인의 하나로 처리된다. 그 결과 성소수자 남성이 HIV/AIDS에 취약하다는 사실과 함께 그들이 성적으로 문란하기 때문에 HIV/AIDS를 퍼트리고 다닌다는 사회적 편견은 다시금 승인된다. 또, 이러한 연구는 HIV/AIDS가 사회적 질병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은폐하고, 모든 질병의 원인과 책임을 개인의 성적 행위로 돌린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학계는 단순히 HIV/AIDS나 동성애에 관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지식을 생산했다기보다, 기존에 퍼져있는 사회적 편견과 건강 불평등을 재승인하는 역할을 담당했던 것은 아닌가?


대안적인 목소리들

 

앞서 살펴본 것처럼 HIV/AIDS를 사회적 질병으로 이해했을 때, 질병의 역학 못지않게 중요하게 분석해야 하는 것은 해당 질병이 감염인에게 개인적‧사회적으로 어떻게 경험되는가이다. 예컨대 신승배(2011)의 연구는 사회적지지, 사회적 낙인, 자기효능감 등 사회적 편견과 배제가 HIV 감염인과 AIDS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후의 연구들 또한 HIV 감염인에게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가 주요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주면서 사회경제적 안정감과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박영미 외, 2014; 최우선, 2017). 김은영‧이명선(2000)과 주혜주(2008)는 여기에서 나아가 HIV 감염인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이들이 질병과 어떻게 마주하며, 그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추적한다. 예컨대 김은영‧이명선(2000)은 HIV 감염 이후 바이러스가 AIDS로 이행하는 과정이 사람마다 다르고 상당히 긴 편인데, 그 과정에서 감염인의 경험이 지속적으로 변화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하여 이들 경험에 대한 종속적 연구와 더불어 감염인의 사회적지지의 핵심이 되는 감염인의 가족의 경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504).

 

그러나 감염인의 경험에 관한 학계의 연구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부분을 메꾸고 있는 것은 감염인 당사자와 성소수자 인권단체의 노력이다. HIV/AIDS는 동성애로 인한 질병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초기부터 존재했기 때문에, 정부 보건당국은 물론이고 학계에서도 이에 관심을 갖지 않거나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보기 일쑤였다. Chang, H. H. et al.(2018)의 연구는 전문 의료진보다 성소수자 남성 당사자가 PrEP(Pre-Exposure Prophylaxis, 노출 전 예방요법)에 대해 더 잘 인지하고 있음을 통해 HIV/AIDS에 관한 사회적 편견과 학계의 무관심을 잘 보여준다.

 

한국에서도 HIV 감염인과 성소수자 당사자들의 액티비즘은 단지 사회적 편견에 맞선 문화적 투쟁을 벌이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HIV/AIDS에 관한 지식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했다. 2004년 HIV/AIDS 인권연대 나누리+을 시작으로 한국HIV/AIDS감염인연합회 KNP+, 한국 청소년‧청년 감염인 커뮤니티 알 등의 당사자 및 활동가 단체가 조직되었다. 이들은 정부 보건당국 및 질병관리본부, 국가인권위원회 등에 HIV/AIDS에 관한 예방 및 지원을 확대할 것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직접 HIV 감염인 및 AIDS 환자의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편견에 관한 지식을 만들어 나갔다(관련 연구는 김연미 외, 2005; 나영정 외, 2016; 서보경 외, 2017; KNP+, 2016, 2017). 특히 최근 연구에서는 HIV/AIDS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보건복지부나 질병관리본부가 대단히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으며(서보경 외, 2017: 54), HIV/AIDS에 대한 낙인과 차별이 동성애와 단단히 결합된 방식으로 가족, 직장, 군대와 교도소와 같은 행정기관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감염인의 삶에 직간접적인 폭력을 가하고 있고(서보경 외, 2017: 53), 여전히 의료기관 등에서 의료차별 및 진료거부를 당하고 있음이 드러났다(KNP+, 2016).

 

한편 사회전반의 편견뿐만 아니라 HIV/AIDS 고위험군 인구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성소수자 남성 커뮤니티 내부에서조차 여전히 HIV/AIDS에 대한 편견과 무지가 만연하다(윤가브리엘, 2010). 나아가 성소수자 액티비즘은 보수 개신교 세력의 혐오선동에 맞서 “에이즈는 동성애자의 질병이 아니다.”라고 반박하는 것과 실제 HIV/AIDS 고위험군이라 할 수 있는 성소수자 남성에 대한 예방 캠페인을 확대하고, 성소수자 감염인의 삶을 가시화하는 것 사이에 존재하는 딜레마와 마주하고 있다. 후자의 주장은 다시금 에이즈가 동성애자의 질병임을 확증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최근 수 년 간 HIV/AIDS 신규 감염인의 수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10대, 20대, 30대 등 젊은 연령층의 증가폭이 두드러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딜레마를 극복하고 HIV/AIDS의 예방과 치료를 확대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HIV 감염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성소수자 커뮤니티 내부에서조차 HIV/AIDS에 대한 편견과 배제를 재생산하면서 HIV/AIDS의 예방과 치료를 어렵게 하고, 건강 불평등의 효과를 심화시키고 있다.

 

즉, 동성애와 HIV/AIDS에 관한 사회적 인식은 자동적인 것이라기보다 구체적인 역사적 과정의 산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동성애가 비교적 가시화되어있었던 서구 사회와 달리 한국에서 섹슈얼리티는 오랫동안 터부시되어 온 주제이다. 1980년대 들어 대단히 특이한 존재로 ‘호모’들이 미디어에 보도되기 시작했으나, 당시 서구에서 시작된 HIV/AIDS 공포는 한국에도 급격하게 유입되었고 동성애는 그 자체로서보다 HIV/AIDS의 감염원이라는 차원에서 사회적으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당시 보건 당국의 정책은 감염인 색출과 격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던 바 HIV/AIDS의 고위험군으로 지목된 동성애자 집단은 사회를 위협하는 타자로 자리잡게 된다. 그러나 이미 DSM 상에서 동성애는 삭제된 이후였고, 칵테일 요법 등의 개발로 HIV/AIDS도 죽음의 질병에서 벗어난 1990년대에 이르러서도 문제적인 법 조항은 남아있었던 데다가, 의학 논문들은 사회적 편견을 제거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이를 강화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결과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동성애와 HIV/AIDS는 낙인화된 채로 강력하게 연결되어 있다.

 

물론 동성애자 남성이 HIV/AIDS에 취약한 집단이라는 사실은 틀림이 없으나, 질병이 그저 치료되어야 할 질병 자체로 인식되기보다는 매우 더럽고 불결한, 무언가 잘못된 존재로 여겨지게 된 데에는 이처럼 보건 당국의 초기 대응과 이후 이를 승인해온 과정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대응해서 동성애자와 HIV/AIDS 감염인 당사자들은 잘못된 지식을 바로잡고 당사자의 입장에서 필요한 제도 등을 마련하기 위해 고군분투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당사자들은 전반적인 사회의 잘못된 인식 속에서 의료적 차별과 그에 따른 사회경제적 배제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잘못된 지식은 HIV/AIDS에 취약한 동성애자 남성 커뮤니티 내부에도 널리 퍼져있다. 동성애에 대한 높은 수준의 성적 낙인을 느끼는 사람은 HIV/AIDS를 예방하는 콘돔과 윤활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낮을 뿐 아니라 HIV/AIDS 예방 및 검사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이는 심각한 문제이다(김승섭, 2016: 41). 이러한 맥락에서 김승섭(2016)은 “현실에서는 동성애가 HIV/AIDS의 원인인 것이 아니라 동성애 혐오와 동성애자에 대한 낙인과 제도적 차별이 HIV/AIDS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41). 이미 HIV/AIDS가 등장한지 35년여가 흘렀고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되어, UNAIDS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에 에이즈와의 전쟁이 종식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한국 사회에도 더 나은 제도와 지식이 절실히 요청되는 시간이다.

 


 

참고문헌

 

김연미, 김현구, 김형석, 박광서, 이미영, 이후소, 이훈재, 정현미, & 한채윤. (2005). HIV 감염인 및 AIDS 환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기미경, 박철민, 장창곡, & 고운영. (2004). 한국 남성 동성애자들의 성행태와 후천성면역결핍증에 대한 인식. J Prev Med Public Health, 37(3), 220-224.

김승섭. (2016). 동성애, 전환치료, 그리고 HIV/AIDS. 기독교사상, 31-41.

나영. (2018). 지금 한국에서, TERF와 보수 개신교계의 혐오선동은 어떻게 조우하고 있나. 문화과학, 93, 50-72.

나영정, 권미란, 김대희, 김성연, 김재왕, 손문수, & 이훈재. (2016). 감염인(HIV/AIDS) 의료차별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누스바움, 마샤. C. 강동혁 역. (2016). 『혐오에서 인류애로: 성적지향과 헌법』. 뿌리와이파리.

박영미, 신기수, & 김지영. (2014). HIV 감염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6(2), 234-243.

박차민정. (2016). AIDS 패닉 혹은 괴담의 정치. 말과활 12(겨울). 35-48.

배종면. (2016). 남성동성애의 차별금지에 대한 HIV/AIDS 감염예방측면에서의 공중보건학적 해석. 대한보건연구, 42(2). 69-74.

서보경. (2008). 건강할 권리와 치료의 정치: 태국 에이즈 감염인의 의약품 접근권 운동. 한국문화인류학, 41(2), 115-153.

서보경, 강호, 나영정, 남웅, 미카엘, 상훈, 소리, 손문수, 윤가브리엘, 정욜, & 종걸. (2017). 한국 HIV 낙인 지표 조사. 한국HIV/AIDS감염인연합회 KNP+.

신승배. (2011). HIV 감염인 및 AIDS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사회연구, 31(4). 424-453.

주혜주. (2008). HIV 감염인의 대처과정-남성 동성애자를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17(1), 97-108.

윤가브리엘. (2010). 에이즈 25년,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 달라진 것과 달라지지 않은 것. 제5회 HIV/AIDS 감염인 인권 주간 토론회 자료집. HIV/AIDS 인권연대 나누리+. 8-15.

이나영, & 백조연. (2017). <성과학연구협회> 를 중심으로 본 ‘개신교’동성애 ‘혐오담론’. 여성학연구, 27(1), 67-108.

이혜민, 박주영, & 김승섭. (2014). 한국 성소수자 건강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6, 43-76.

이훈재. (2010). 한국 HIV/AIDS 정책 25년. 한국의 HIV/AIDS, 25년. 제5회 HIV/AIDS 감염인 인권 주간 토론회 자료집. HIV/AIDS 인권연대 나누리+. 33-45.

전원근. (2015). 1980년대 『선데이서울』에 나타난 동성애 담론과 남성 동성애자들의 경험. 젠더와문화, 8(2), 139-170.

질병관리본부. (2017). 2016 HIV/AIDS 신고 현황.

최우선. (2017). HIV 감염인이 경험하는 낙인이 우울과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 간호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캐머런, 에드윈. 김지혜 역. (2017). 『헌법의 약속 : 모든 차별에 반대한다』. 후마니타스.

한국HIV/AIDS감염인연합회 KNP+. (2016). HIV/AIDS감염인 의료차별/진료거부 실태조사.

Chang, H. H., Kim, S. W., Jung, H., Lee, S. A., Park, H. K., Kim, S., ... & Choi, J. Y. (2018). Awareness and Acceptance of HIV Pre-exposure Prophylaxis among Medical Personnel and Men Who Have Sex with 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3(12).

Cho, Y. K., Shin, Y. O., & Kim, Y. B. (1993).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V Infected Homosexua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6(4), 541-550.

Conrad, P., & Angell, A. (2004). Homosexuality and remedicalization. Society, 41(5), 32-39.

Jung, M., Lee, J., Kwon, D. S., & Park, B. J. (2012). Comparison of Sexual Risky Factors of Men Who Have Sex With Men and Sex-buying Men as Groups Vulnerable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5(3), 156.

Jung, M. (2013). Sexual behavior and condom use among gay men, female sex workers, and their customers: evidence from South Korea. PloS one, 8(6), e66867.

Jung, M. (2016). Partnering Patterns and Sexual Behavior Among Korean Men Who Have Sex With Men. The open AIDS journal, 10, 104.

Lakkimsetti, C. (2014). “HIV Is Our Friend”: Prostitution, Biopower, and the State in Postcolonial India. Signs: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40(1), 201-226.

Lombardi, E., & Bettcher, T. M. (2013).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Transsexual Individuals. in: Social Injustice and Public Health(edited by Levy, B. S., & Sidel, V. W.). Oxford University Press. 123-139.

Sohn, A., & Cho, B. (2012). Knowledge, Attitudes, and Sexual Behaviors in HIV/AIDS and Predictors Affecting Condom Use Among Men Who Have Sex with Men in South Korea.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3(3), 156-164.

UNAIDS. (2016). Prevention Gap Report.

Watkins-Hayes, C. (2014). Intersectionality and the Sociology of HIV/AIDS: Past, Presen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40.

Young R. M., and Meyer, I. H.. (2005). The Trouble with "MSM" and "WSW": Erasure of the Sexual-Minority Person in Public Health Discours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5(7). 1144-1149.